Technical/Riging

[MAX]Link Constraint

ParkJinseok 2021. 3. 1. 15:27
  • 실제 Link와 상관없이 가상의 부모 역할을 지정할 수 있게 함.

  • Link Constraint를 통해 애니메이션 중간에 부모가 변경 되는 듯한 연출이 가능해짐.

  • Link Constraint를 통해 지정된 Link는 가상의 부모이기 때문에 실제 계층 구조와는 다름.

  • Link 구조가 있는 Link Constraint은 Max나 엔진에서 예상과 다른  값(위치)이 될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가 필요함.
    게임 엔진에서는 Max에서 보여지는것이 아닌 Link 구조 관계에 따른 값이 중요하기 때문에 예상과 전혀 다른 값이 나올 수 있음.

  • Biped 작업할 , 양손에서 왔다갔다하는 정도의 작업이라면 Prop 이용해서 작업하는 편이 나음.
    바닥에 떨어지고 Biped 이외의 다른 부분에도 붙는 작업과 같은 경우에 Link Constraint 사용함.

  • Link Constraint에서 Child는 Link Constraint가 적용 된 자기 자신을 의미함.

  • 계층 구조와 이미지와 같을 때(A2가 B2에 Link Constraint로 연결 됨), 옵션으로 애니메이션 키가 생성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해봤는데 키가 아예 안찍히던데….;;)

Link Constraint Option

 

Key Nodes (Child)

  • Constraint 오브젝트에만 키가 생성 됨.
  • A02

 

Key Nodes (Parents)

  • Constraint 오브젝트와 Target 오브젝트에 키가 생성 됨.
  • A02, B02

 

Key Entire Hierachy (Child)

  • Constraint 오브젝트와 Constraint 오브젝트의 부모 오브젝트에 키가 생성 됨.
  • A01, A02

 

Key Entire Hierachy (Parent)

  • Constraint 오브젝트와 Target 오브젝트 그리고 두 오브젝트의 부모 오브젝트에 키가 생성 됨.
  • A01, A02, B01, B02

 

  • Link Constraint로 작업 된 Link 타겟 애니메이션은 다시 불러오는 작업이 불가능하다.
    (전혀 안되는 건 아닌데 좀 이상하게 불러오기가 되는듯?)